탈진은 왜 반복되는가 – 감정노동의 순환 고리

작성일: 2025년 6월 18일

감정노동의 회복은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오히려 회복 이후에도 작은 말 한마디, 익숙한 상황 속에서 다시금 탈진이 시작되곤 합니다. 이는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감정노동이 가진 구조적 반복 때문입니다. 회복을 해도 다시 소진되고, 소진 후엔 다시 회복을 시도하는 이 순환은 감정노동자에게 너무도 익숙한 흐름입니다. 이 글에서는 감정노동의 순환 고리를 만들어내는 사회적·관계적 구조를 짚어보고, 이를 끊어내기 위한 실천 전략과 자기돌봄의 방향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감정 회복이 왜 어려운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지속가능한 회복으로 전환할 수 있을지, 그 해답의 실마리를 찾아갑니다.

1. 회복했지만 다시 탈진했다는 느낌

“나 이제 정말 괜찮아.”
그 말을 저는 마음속에서 수없이 되뇌며 스스로를 다잡았습니다. 정말이지 회복됐다고 믿었습니다. 잠시 쉬었고, 나를 위한 시간을 보냈고, 더는 흔들리지 않으리라 다짐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어느 날, 아무렇지 않게 던진 말 한마디에 마음이 덜컥 주저앉고, 갑자기 숨이 막히는 것 같은 느낌이 다시 찾아왔습니다. 낯설지 않은 감정이었습니다.

감정노동자로서의 저는 늘 타인의 기분을 먼저 살피고, 눈치를 보며 말투를 조율하고, 내 감정은 한켠에 미뤄두는 게 습관이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다시 탈진이 찾아오면 ‘내가 뭔가 잘못했나’, ‘내가 아직 약해서 그런가’ 하고 자책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었습니다. 반복되는 탈진의 원인은, 내 회복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감정노동이라는 구조 속 순환 고리 안에 다시 들어가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 고리는 보이지 않지만 단단하고, 무의식 속에서 나를 다시금 탈진으로 이끄는 구조였습니다. 저는 그 사실을 인식하는 순간, 비로소 자책이 아닌 구조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탈진은 다시 시작되는 감정노동의 구조다

감정노동자는 단순히 감정을 참는 사람이 아닙니다. 우리는 상대방의 감정을 알아채고, 그것을 흡수하거나 대신 표현해야 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조직이 요구하는 ‘정서’를 반복해서 연기하며, 그 감정의 흐름을 내 안에 유지시켜야 합니다. 그런데 이 연기는 특정 시간에만 요구되는 것이 아닙니다. 감정노동은 퇴근과 함께 끝나지 않고, 하루의 감정이 집까지 따라와서 잠들기 전까지도 내 마음 한편에 잔류합니다.

저는 박사 논문을 쓰며 장애인활동지원사 6인의 깊은 이야기를 듣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놀랍게도 그들 대부분은 “감정을 숨기는 게 힘들었다”는 것보다 “관계가 끝났는데도 상대의 감정이 내 안에 남아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그 말의 의미를 저는 너무 잘 알고 있었습니다. 관계는 종료되었지만, 그 감정은 내 안에 흔적으로 남아 매번 불쑥 떠오릅니다.

그래서 회복을 결심하고 루틴을 만들어도, 저는 늘 같은 곳으로 되돌아오곤 했습니다. 친절함을 유지해야 하고, 분노나 불쾌감을 표현하면 안 되며, 업무상 거리 두기조차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구조 속에서 감정을 억제하는 제 방식은 언제나 같았습니다. 결국 감정은 점점 축적되고, 어느 날 다시 무너지는 순간을 맞게 됩니다. 회복은 했지만, 제가 처한 시스템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나는 또다시 똑같은 감정 회로를 반복하고 있었습니다. 탈진은 나의 실패가 아니라, 반복을 멈추기 어려운 구조에서 비롯된 필연이었습니다.

3. 순환을 끊기 위한 나만의 신호 만들기

탈진이 반복된다는 건, 결국 내 안에 회복의 루틴이 아직 충분히 뿌리내리지 않았다는 뜻이었습니다. 겉으로는 ‘괜찮은 척’을 했지만, 사실은 전혀 괜찮지 않았던 날들이 많았습니다. 그 모순된 상태에서 저는 스스로에게 신호를 만들어주기로 결심했습니다. 내가 피로해지고 있다는 걸, 감정이 끓어오르고 있다는 걸, 스스로 인식할 수 있는 ‘경고등’을 만들어보자는 생각이었습니다.

그 신호는 거창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저는 출근길 버스 안에서 눈을 감고 숨을 내쉴 때, 속으로 ‘하나, 둘, 셋’ 숫자를 세는 일부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하루를 마친 후, 힘들었던 대화 하나를 떠올리며 ‘지금 힘들다’는 문장을 노트에 적어 넣었습니다. 짧은 말이었지만, 그 문장은 제 감정의 순환 고리를 끊어주는 작은 브레이크였습니다. “나는 괜찮지 않다”는 사실을 스스로에게 말하는 것만으로도 감정의 무게는 조금씩 가벼워졌습니다.

감정노동자는 늘 타인의 감정을 먼저 살피는 데 익숙합니다. 그래서 자신이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조차 놓치기 쉽습니다. 하지만 탈진은 언제나 그런 ‘무감각’ 속에서 찾아왔습니다. 감정을 감지하지 못하는 순간, 피로는 누적되고, 결국엔 폭발하듯 무너지는 거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감정에 둔감해졌다는 감각’을 오히려 신호로 삼기로 했습니다. 내 마음이 무뎌졌다고 느껴질 때, 저는 스스로와 짧은 대화를 나눕니다. “지금 좀 지쳐 있구나, 너답지 않게 무표정이잖아.” 그렇게 다시 나를 회복의 자리로 데려오는 연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4. 지친 나를 다시 꺼내는 용기

나는 회복한 줄 알았습니다. 이제는 예전처럼 흔들리지 않을 거라고, 다 지나간 일이라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탈진은 다시 찾아왔고, 그 순간은 오히려 처음보다 더 아프고 혼란스러웠습니다. “왜 또 이러지?”, “내가 약한 걸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압니다. 감정노동자의 회복은 단번에 끝나는 일이 아니라, 다시 반복되는 시작이라는 것을요. 그것은 매일 새롭게 시작하는 훈련이자, 흔들릴 수밖에 없는 내 마음을 다시 붙드는 용기였습니다.

감정노동을 멈출 수 없다면, 적어도 그 안에서 나를 지키는 방법은 배워야 했습니다. 저는 ‘내 마음의 언어’를 익히는 연습을 했습니다. 남에게만 예의 바르게 말하던 습관을 이제는 나에게도 적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오늘 정말 애썼어.”, “그 상황에서 버틴 너는 대단해.” 그렇게 저 자신에게 말을 걸다 보면, 무너진 자존감이 다시 서고, 감정의 균형도 조금씩 회복됐습니다.

가장 큰 변화는, 나에게 질문을 던지는 연습이었습니다. “지금 너의 마음은 어떤 상태야?”라는 물음. 이 단순한 질문을 스스로에게 할 수 있을 때, 감정노동의 순환 고리는 조금씩 풀렸습니다. 그것은 결코 약한 태도가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무너지는 자신을 다시 꺼내는, 가장 용감한 회복의 시작이었습니다. 만약 지금도 그 고리 안에 갇혀 있다고 느끼신다면, 기억하세요. 당신은 결코 혼자가 아닙니다. 저도 그 길 위에 서 있습니다.

5. 회복은 결국 ‘자기와의 관계를 다시 맺는 일’

감정노동자는 타인의 감정에 예민합니다. 그래서 정작 자기 감정은 돌보지 못한 채, ‘좋은 사람’, ‘문제 없는 직원’의 역할에 갇혀 살아갑니다. 하지만 회복은 그 틀에서 벗어나는 순간부터 시작됩니다. 저는 오랜 시간 동안, 나를 대하는 방식을 바꾸는 게 회복의 첫 걸음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감정노동을 하며 진짜 힘들었던 건 ‘일’ 그 자체가 아니라, 나 스스로를 소외시키는 내 마음의 태도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다시 저 자신과 관계를 맺기 시작했습니다. 바쁜 하루 중 잠깐의 여유를 내어 제 감정을 바라보고, 저를 향한 말투를 바꿨습니다. ‘왜 이 정도도 못 참아?’에서 ‘이만큼 참은 너, 대견해’로. 그 작은 변화는 놀라울 만큼 제 삶의 방향을 바꿔놓았습니다. 감정노동의 회복은 결국, 타인을 위한 배려를 멈추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도 그 배려 안에 포함시키는 일이라는 걸요.

회복이란 단어는 종종 완치를 떠올리게 하지만, 제게는 ‘관계 회복’이란 의미에 더 가깝습니다. 감정노동을 지속하면서도 스스로를 잃지 않기 위한 싸움, 그것이 곧 자기와의 관계를 다시 회복하는 길이었습니다. 저는 아직도 매일 그 싸움을 합니다. 하지만 그 싸움이 두렵지 않은 이유는, 이제는 제가 저와 손을 잡고 있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글을 읽는 당신도, 그런 회복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감정노동 칼럼 시리즈 전체 글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 감정노동 칼럼 시리즈 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