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5년 7월 15일
감정노동자는 종종 자신의 감정을 부정당하거나 “예민하다”, “프로답지 못하다”는 말로 무시당합니다. 이 글은 감정노동자의 감정이 왜 자주 폄하되는지, 그로 인한 상처와 회복의 방향을 실천적인 시선으로 풀어냅니다. 감정은 틀린 게 아니라, 존중받아야 할 신호입니다.
【1】“그 정도 일에 왜 그래요?”라는 말에 무너졌던 날
감정노동을 하면서 제가 가장 힘들었던 순간은, 다름 아닌 감정을 무시당할 때였습니다. 어떤 날은 고객의 무례한 말에 너무 속상해서 동료에게 털어놨습니다. 하지만 돌아온 말은 “그 정도 일에 왜 그래요?”였습니다. 그 순간 저는 다시 한 번 상처를 받았습니다. 그 말 한마디가, 마치 내 감정을 사소하고 과장된 것으로 만들어버린 듯했기 때문입니다. 이상하게도 고객의 말보다, 동료의 무심한 반응이 더 아프게 다가왔습니다. 감정을 표현했다는 이유로 “예민하다”, “프로답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을 때마다, 나는 점점 더 입을 닫게 되었고, 결국 내 감정을 숨기는 게 스스로를 지키는 방법이라고 믿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선택은 시간이 지날수록 나를 내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만들었습니다. 감정을 꾹꾹 눌러 담는 삶, 그것이 나를 더 지치게 했습니다.
【2】감정은 옳고 그름의 대상이 아닙니다
사람들은 종종 말합니다. “그건 네 기분 탓일 뿐이야”, “너무 감정적으로 받아들이지 마”, “그냥 흘려넘겨.” 이런 말들은 조언처럼 들릴지 모르지만, 사실은 내 감정을 부정하고 평가하는 말이었습니다. 감정은 기분이 아닙니다. 그것은 내 몸과 마음이 어떤 상황을 만났을 때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정서적 반응입니다. 하지만 감정노동자에게는 그 감정조차도 ‘적절한지 아닌지’를 따지는 기준 아래 놓이게 됩니다. 그러다 보면 나도 모르게 내 감정을 의심하게 됩니다. “이런 기분이 잘못된 걸까?”, “다른 사람은 안 힘든데 왜 나만 힘든 거지?” 하지만 감정은 맞고 틀릴 수 없는 것입니다. 정답이 있는 수학 문제가 아니라, 그저 내가 느낀 그 자체로 의미 있는 신호입니다. 감정노동자에게 필요한 건 감정을 통제하는 능력이 아니라, 감정을 받아들이고 존중하는 환경입니다.
【3】내 감정을 다시 믿어보기로 했습니다
한때 저는 제가 느끼는 모든 감정을 의심하며 살았습니다. 사소한 일에 화가 나면, “내가 유난인가?”, 슬퍼지면 “왜 이렇게 별일에도 무너지지?”라는 자책이 따라왔습니다. 그렇게 감정에 스스로 ‘검열’을 거는 시간이 길어졌습니다. 그러다 상담을 통해 한 가지를 깨달았습니다. 내가 느낀 감정은 언제나 나에게는 진짜였다는 사실입니다. 상황이 크든 작든, 나에게 고통을 준 순간이라면 그 감정은 무시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 뒤로 저는 작은 연습을 시작했습니다. 불편했던 순간을 일지에 써보기, 나 자신에게 “그건 힘들었을 거야”라고 말해주기, 그리고 불쾌했던 말에 스스로 감정의 이름을 붙여보기. 이런 작은 실천들이 쌓이자, 감정에 대한 신뢰가 조금씩 생겼습니다. 내 감정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눌려 있던 것이었습니다. 이제 나는 내 감정을 다시 믿기로 했습니다.
【4】감정을 지킨다는 건, 곧 나를 지키는 일
우리는 종종 감정 표현을 위험하다고 배웁니다. 말하면 싸움이 나고, 속을 보여주면 약점이 될 거라고요. 저 역시 오랫동안 그런 믿음 속에 살았습니다. 그래서 어떤 상황에서도 ‘괜찮은 척’을 했고, 감정을 드러내기보단 삼키는 쪽을 택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살수록, 저는 점점 내가 어떤 사람인지 모르겠는 느낌에 사로잡혔습니다. 진짜 내 감정은 어디에 있고, 나는 왜 이렇게 쉽게 흔들리는 걸까? 그때 깨달았습니다. 감정을 숨기는 것은 상황을 해결하는 게 아니라, 나를 지우는 일이란 걸요. 지금은 누군가의 말보다 내 감정의 신호에 더 집중합니다. 마음이 불편하면 이유를 찾고, 감정을 억지로 없애려 하지 않고, 다만 곁에 두고 바라봅니다. 그렇게 감정을 존중하다 보면, 내 자신도 함께 존중받는다는 걸 느낍니다. 감정을 지키는 것은 단순한 표현이 아니라, 나 자신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5】내 감정은 틀리지 않았다 – 이제는 그 말을 믿습니다
예전의 나는 늘 남의 기준에 맞춰 감정을 조절하려 했습니다. 누가 나를 불편해하지 않게, 누가 나를 나약하다고 보지 않게. 하지만 그 과정에서 나는 자꾸만 나를 외면했습니다. 지금은 말할 수 있습니다. 내 감정은 결코 틀리지 않았다고요. 감정은 언제나 나를 보호하려는 마음에서 나왔고, 그 감정을 느꼈다는 것은 내가 살아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지금의 나는 더는 감정을 감추려 하지 않습니다. 불편하면 불편하다고, 기쁘면 기쁘다고 말합니다.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나를 회복하는 일, 그것이 바로 감정노동자의 회복입니다. 오늘도 여전히 무례한 말을 듣고, 피곤한 하루를 보내지만, 이제 나는 그 안에서 내 감정을 부정하지 않습니다. 감정을 느낄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그 감정을 인정해주는 나를 만났다는 것. 그것이 지금의 나를 지탱해주는 가장 단단한 회복의 증거입니다.
📌 감정노동 칼럼 시리즈 전체 글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 감정노동 칼럼 시리즈 모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