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통장 해지와 유지의 차이를 설명하는 안내 이미지"

청약통장 깨면 후회? 유지하면 득 되는 이유!

작성일: 2025년 9월 13일

최근 청약통장 해지자가 급증하면서 “과연 지금 청약통장을 유지하는 게 맞을까?”라는 고민을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성급하게 해지하기 전에, 청약통장이 가진 본질적인 가치와 전략적 활용법을 제대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청약통장의 현황부터 유지해야 하는 5가지 이유, 그리고 제도 변화까지 꼼꼼히 짚어드립니다.

1. 청약통장 해지자가 늘어나는 이유

📉 가입자 수 감소

  • 2025년 7월 기준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2,636만 6,301명.
  • 전년 대비 무려 50만 5,343명 감소했습니다.
연도 / 기준 시점청약통장 가입자 수전년 대비 변화 / 비고
2022년 중반 (6월)28,599,279명 (2,859만 9279명) (뉴시스)최고치 부근
2024년 말26,485,223명 (2,648만 5,223명) (마켓in)전년도 대비 약 55만명 감소
2025년 5월 말26,393,790명 (2,639만 3,790명) (뉴시스)다시 감소세 지속

⚠️ 해지자가 늘어난 배경

  1. 1~2인 가구의 무용론 확산
    가점제는 무주택 기간, 가입 기간, 부양가족 수로 점수가 매겨집니다.
    특히 1~2인 가구는 가점 만점을 받아도 당첨 확률이 낮아, “해지해도 무방하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습니다.
  2. 분양가 폭등
    서울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 2020년: 평당 2,681만 원
    • 2025년: 평당 4,543만 원
      불과 5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84㎡ 기준 16억 원을 넘어서면서 계약금 마련이 사실상 어렵습니다.
  3. 대출 규제 강화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는 최대 6억 원.
    하지만 분양가는 훨씬 높아 현금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 실물 모습"
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은 주택 당첨 기회

최근 “분양가 폭등” 관련 자료

항목시점 / 비교 시점수치 및 변화
서울 민간 아파트 평당 분양가2025년 7월₩45,300,000 ~ ₩45,600,000/평 수준 (뉴데일리)
서울 아파트 ㎡당 분양가 변화 (’21~’25)• 2021년 8월: 약 ₩12,580,000/㎡ (다음) • 2022년 8월: 약 ₩12,500,000/㎡ (소폭 하락) (다음) • 2023년 8월: 약 ₩14,300,000/㎡ (다음) • 2024년 8월: 약 ₩18,520,000/㎡ (세계일보) • 2025년 8월: 약 ₩20,070,000/㎡ (처음으로 서울 민간 아파트가 ㎡당 분양가 2,000만원 돌파) (다음)
국민평형 (84㎡) 환산 가격2025년 8월₩16.8억 ~ ₩17억선에 육박 (세계일보)

최근 “대출 규제 강화” 관련 자료

항목내용
주택담보대출 상한선 설정정부가 발표한 “6·27 부동산대책”에 따라 수도권·규제지역 내 생애 첫 또는 실거주 목적 주택구입 주담대 최대 한도를 ₩6억으로 제한함. (금융위원회)
주택담보대출기간 제한수도권/규제지역에서 주택담보대출 만기를 최장 30년으로 제한하는 조치가 포함됨. (금융위원회)
LTV 규제 강화규제지역 LTV 상한을 기존 50% → 40%로 조정하는 등의 담보 비율 조정이 논의/적용 중임. (금융위원회)
생애 최초 주택구입 목적 LTV 조정 및 전입 의무 부과수도권·규제지역에서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시 LTV 기준 강화 + 집 구매 후 6개월 이내 전입 의무가 추가됨.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 청약통장 해지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이유

구분장점상세 내용
금리시중보다 유리일반형 2.3~3.1%, 청년형 최대 4.5%
가점장기 가입 메리트15년 유지 시 가입 기간 가점 만점(17점)
소득공제절세 효과연 300만 원 납입 시 최대 120만 원 환급
담보대출해지 대신 활용예치금의 95%까지 대출 가능(금리 2%대)
불이익해지 시 손해소득공제 환수, 이자 과세, 가점 초기화 발생

👉 즉, 단순 해지는 이득보다 손해가 클 수 있습니다.

"청약통장과 5만 원권 지폐 묶음, 주택 배경 이미지"
청약통장은 단순한 금융상품

3. 청약통장을 현명하게 활용하는 전략

  • 공공분양 목표라면 매월 25만 원 ‘풀납입’으로 가점 관리
  • 민영주택 중심이라면 지역·면적별 예치금 기준만 충족
  • 청년층이라면 청년 주택드림 통장 적극 활용 (금리 최대 4.5% + 저금리 대출 혜택)
  • 급전이 필요하다면 해지 대신 담보대출 활용 → 해지 시 발생하는 불이익 방지

주택청약 종합저축 홍보 포스터, 가입 조건과 혜택 안내
주택청약 종합저축은 국민 누구나 가입 가능

4. 제도 변화, 꼭 챙겨야 할 포인트

  1. 금리 인상: 2025년 대부분 계좌에 연 2.3~3.1% 금리 적용
  2. 상품 통합: 청약예금·부금 → 종합저축 전환 가능
  3. 청년주택드림 통장 출시: 금리 4.5% + 군 장병 적금 연계 혜택
  4. 소득공제 확대: 연말정산 소득공제 한도 300만 원, 미성년자 납입 인정 5년 확대

👉 제도는 계속 바뀌고 있으므로, 해지보다 유지하면서 제도 변화에 맞춰 활용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5. 청약통장은 ‘내 집 마련 보험’

청약통장은 단순히 ‘당첨을 위한 복권’이 아닙니다.

  • 시중 적금보다 유리한 금리
  • 장기 유지 시 가점 누적
  • 절세 효과
  • 담보대출 가능성

을 종합하면, 청약통장은 내 집 마련을 위한 보험 같은 존재입니다.

당장은 불확실성이 크더라도, 전략적으로 유지하며 변화하는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훨씬 이득입니다.

✅ 마무리

청약통장을 해지할지, 유지할지 고민 중이신가요?
답은 유지하면서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당장의 불확실성보다 장기적인 혜택이 훨씬 크기 때문입니다.

👉 더 자세한 정보는 국토교통부 청약홈 또는 복지로에서 확인하세요.

📌 오늘의 결론: 청약통장은 깨면 손해, 유지하면 득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수향들 TV 로고, 녹색 배경에 흰색 굵은 글씨
수향들 TV와 함께 다양한 생활 정보와 문화 이야기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