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5년 8월 29일
정부가 내년도 국가 예산 728조 원을 확정 발표하면서, 그중에서도 AI(인공지능) 분야 예산이 무려 두 배 이상 확대된 점이 큰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단순히 금액이 커졌다는 사실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돈이 어디에 쓰이고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 하는 국민적 궁금증입니다. 규제 완화와 기업 부담 완화라는 정부의 ‘쌍중단 전략’은 실제 산업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요, 아니면 또 다른 부작용을 낳을까요? 오늘은 그 핵심 쟁점을 짚어봅니다.
AI 예산 두 배 확대 ― 무엇이 달라지나
2026년 정부는 국가 R&D 예산을 35조 3천억 원으로 확정했습니다. 이 중 AI 분야는 전년 대비 106% 증가한 2조 3천억 원을 배정받았습니다. 이는 단순히 연구비가 늘어난 수준이 아니라, 정부가 글로벌 기술 경쟁에서 ‘AI 독자 기술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풀스택 AI 연구개발과 더불어 AGI(범용 인공지능), 저전력 AI, 차세대 AI 반도체(NPU·PIM) 같은 미래 기술에 집중 투자한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 또한 AI 데이터센터 간 고속 네트워크, 즉 AI 고속도로 구축 계획도 포함돼, 앞으로 인프라 환경이 획기적으로 바뀔 전망입니다.

분야별 예산 증감 현황
국민 입장에서 가장 궁금한 점은 AI 예산이 늘어난 만큼 다른 분야 예산은 어떻게 조정되었나입니다. 실제로 주요 분야의 예산 증감률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분야 | 2025년 예산 | 2026년 예산 | 증감률 |
|---|---|---|---|
| 전체 국가예산 | 638조 원 | 728조 원 | +14.1% |
| 국가 R&D 전체 | 32조 원 | 35.3조 원 | +10.3% |
| 인공지능(AI) | 1.1조 원 | 2.3조 원 | +106% |
| 에너지 | – | – | +19.1% |
| 방위산업 | – | – | +15.3% |
| 중소벤처 지원 | 2.4조 원 | 3.4조 원 | +39.3% |
| 지역균형발전 | – | – | +54.8% |
표에서 보듯, 728조 원이라는 역대 최대 국가예산이지만, 특히 AI와 중소벤처·지역균형 분야에 집중 투자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규제 완화와 기업 부담 경감 ― ‘쌍중단 전략’의 의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정책에서 “필요 최소한의 규제만 적용해 산업계 부담을 줄이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자유롭게 기술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양면성이 존재합니다.
- 긍정적으로 보면, 규제 완화는 스타트업과 기업의 혁신 속도를 높이는 촉매제가 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지나친 규제 완화는 책임 소재 불명확이나 윤리적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의료·행정 분야에 AI가 도입될 경우, 오작동이나 개인정보 유출 문제 발생 시 누가 책임질 것인가는 여전히 풀리지 않은 과제입니다.

AI 국산화 전략 ― 반도체·클라우드 중심
정부는 이번 예산을 통해 AI 반도체(NPU·PIM), 클라우드 인프라, 국산 데이터센터 기술 지원에 나섭니다. 이는 단순히 연구 성과뿐만 아니라, 국가 안보와 공급망 안정성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이미 AI 칩·클라우드 분야를 선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이 독자적인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지가 핵심 관전 포인트입니다.

미해결 과제 ― 민관 협력과 윤리 문제
AI 예산 확대는 큰 기대를 모으지만 동시에 여러 과제를 남깁니다.
-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의 협력 한계: 기술 상용화 단계에서 이익 분배 문제, 데이터 독점 문제 등 갈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윤리·책임 문제: 의료, 행정, 복지 등 공공서비스에 AI를 적용할 때 오판·차별이 발생하면 누가 책임질지 불분명합니다.
- 예산 집행 투명성: 과거 일부 R&D 사업처럼 낭비나 부패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강력한 관리·감독이 필요합니다.

결론 ― 국민이 지켜봐야 할 포인트
728조 원이라는 사상 최대 예산과 AI 두 배 확대는 분명히 한국 사회를 바꾸는 거대한 도전입니다. 하지만 국민이 궁금한 것은 “정말로 우리의 삶이 좋아질까?”라는 점입니다.
이번 예산을 통해
- AI와 첨단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 지역과 중소기업이 함께 성장하며,
- 규제 완화가 혁신과 안전을 동시에 지킬 수 있다면,
비로소 이번 예산은 국민께 드린 약속을 지키는 성과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집행 과정에서 낭비와 책임 회피가 발생한다면 또 하나의 ‘세금 낭비 논란’으로 끝날 위험도 큽니다.
앞으로 정부와 국회, 산업계가 728조 예산의 의미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게 만드는 과정이 더욱 중요해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