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5년 7월 15일
감정노동을 하며 들었던 말들, 그 말들 속에 갇혀 지워졌던 내 감정. 이제는 참는 것이 아닌, 표현하는 법을 배워가며 회복을 향해 나아갑니다. 이 글은 말 한마디에 무너졌던 내가 어떻게 다시 나를 회복해가는지를 담았습니다.
1. “그래도 참아야지”라는 말에 내 감정이 사라졌다
나는 감정노동자로 일하며 수없이 들었습니다. “그래도 참아야지.” 처음엔 이 말이 당연하게 느껴졌습니다. 나보다 더 힘든 사람도 많을 텐데, 내가 이 정도로 흔들리면 안 된다고 스스로를 다잡았습니다. 하지만 반복되는 이 말 속에서 나는 점점 무감각해졌고, 어느 순간부터는 내 감정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괜찮지 않은데 괜찮다고 말하고, 상처받았는데 웃으며 넘겼습니다. “참는 것”은 점점 미덕이 아니라, 내 감정을 지우는 방식이 되어갔습니다. 참는 게 익숙해질수록 나는 나에게서 멀어졌고, 내가 누구인지조차 알기 어려워졌습니다. 그렇게 나는 웃고 있지만, 점점 무너지는 사람이 되어가고 있었습니다.
2. 프로답게 웃는 얼굴 뒤에 숨겨진 억압
직장에서 ‘프로답다’는 말을 듣기 위해 나는 늘 침착하고 밝은 표정을 유지했습니다. 무례한 말도, 불합리한 요구도 웃으며 넘겼고, 감정을 드러내는 건 미성숙하다는 평가를 피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더 열심히 참았고, 더 밝게 웃었습니다. 하지만 그 안에서 자꾸만 무너졌습니다. 감정을 감추는 건 기술이 아니라 억압이었습니다. 웃는 얼굴로 버텨낸 하루 끝에 나는 지쳐 쓰러졌고, 혼자 있을 때마다 눈물이 났습니다. 진짜 프로는 감정을 억누르는 사람이 아니라, 자기 감정을 인식하고 건강하게 표현할 줄 아는 사람이라는 걸, 나는 회복의 과정 속에서 조금씩 깨닫고 있습니다.
3. “예민하네”라는 말이 나를 침묵하게 했다
회복을 위해 조심스럽게 내 감정을 표현했을 때, 돌아온 말은 “너 좀 예민하네”였습니다. 그 말 한마디는 내 마음을 다시 닫게 만들었습니다. 감정을 표현했다는 이유만으로 과민하다는 평가를 받는 순간, 나는 또다시 침묵을 선택하게 됐습니다. 왜 나는 늘 너무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사람처럼 여겨질까, 그 질문 속에서 나 자신이 더 작아졌습니다. 하지만 예민하다는 건 감각이 살아 있다는 뜻일지도 모릅니다. 너무 많이 참아서, 오히려 작은 자극에도 흔들리는 마음을 가진 사람에게 필요한 건 비난이 아니라 이해였습니다. 나는 그걸 몰랐습니다. 아니, 알고 있었지만 믿지 못했습니다. 이젠 그 말에 주눅 들지 않고, 나의 감각을 살아있는 것으로 받아들이려 합니다.
4. “약해서 그래”라는 말이 만든 상처
힘들다고 말했을 때, 누군가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건 네가 약해서 그래.” 나는 순간 할 말을 잃었고, 스스로를 책망하기 시작했습니다. 정말 내가 유난스러운 걸까, 내가 더 단단했어야 했던 걸까. 그렇게 자기 회의를 반복하며 내 회복의 속도는 더 늦춰졌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압니다. 감정노동으로 지친 나를 약자라고 말하는 건 오히려 폭력일 수 있다는 것을요. 누구나 다 다르게 아픕니다. 그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말들이, 회복을 더 어렵게 만든다는 것을 말입니다. 이제는 누군가가 그렇게 말해도, 나는 나의 속도를 믿고, 나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려 합니다. 그 말이 틀렸다는 걸 설명하기보다, 내 감정을 보호하는 쪽을 택하려 합니다.
5. 회복을 돕는 말의 힘, 그리고 나의 변화
이제 나는 조금씩 감정을 말로 표현합니다. 누군가의 말에 상처받았다고 말하고, 참는 게 아니라 설명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리고 같은 감정을 겪는 사람들을 만나면 더는 “참아야지”라는 말 대신 이렇게 말합니다. “그래, 많이 힘들었겠다.” 그 한마디가 마음을 열게 하고, 스스로를 다시 회복할 수 있게 합니다. 우리가 서로에게 던지는 말은 생각보다 큰 힘을 가집니다. 회복을 방해하는 말 대신, 회복을 돕는 말로 세상을 바꿔갈 수 있다고 믿습니다. 나부터 그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나부터 그렇게 듣고 싶었습니다.
6. 참지 않아도 괜찮은 세상을 향해
나는 이제 “참는 게 미덕”이라는 오래된 가르침에서 조금씩 벗어나고 있습니다. 감정을 드러내는 것도, 힘들다고 말하는 것도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고 내 안에 새기고 있습니다. 누군가의 말에 휘청일 때도 있지만, 그런 말들에 상처받았던 내 마음을 나 스스로 감싸 안으며 다시 일어섭니다. 참지 않아도 괜찮은 세상, 감정을 표현해도 괜찮은 관계 속에서, 나는 조금씩 더 나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 말이 누군가의 회복에도 작은 용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우리, 서로의 감정에 조금 더 귀 기울여줄 수 있기를.
📌 감정노동 칼럼 시리즈 전체 글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 감정노동 칼럼 시리즈 모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