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은 선택이 아니라 실천이다 – 매일 반복되는 감정 훈련의 힘

작성일: 2025년 7월 15일

회복은 감정노동자에게 주어지는 기회가 아니라, 매일의 선택과 반복에서 만들어지는 과정입니다. 이 글은 나의 감정노동 회복 여정에서, 감정훈련이 어떻게 ‘지속가능한 회복력’을 가능하게 했는지에 대한 실천적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1. 회복은 한 번의 선택이 아니라 매일의 훈련이었다

‘회복을 결심했다’는 그 순간만으로는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그저 마음만 굳게 먹는다고 감정은 제자리로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나는 매일 다시 부딪혀야 했고, 매일 다시 흔들렸습니다. 결국 내가 선택한 것은 ‘한 번의 다짐’이 아니라 ‘매일의 훈련’이었습니다. 매일 감정을 기록하고, 내면을 성찰하며, 감정노동 이후 남겨진 감정 찌꺼기들을 비워내는 반복적인 작업이 필요했습니다. 회복은 단발성이 아니라, 살아 있는 일상이었으니까요. 나를 다시 세우는 힘은 거창한 철학이 아닌, 일상의 반복에서 자라났습니다.

2. 감정노동 이후 ‘비워내기’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기술

하루 종일 누군가의 감정을 떠안고 나면, 내 안엔 분노와 수치심, 좌절 같은 감정이 남았습니다. 그런 날일수록 혼자 있는 시간을 가졌고, 작은 일기장에 그 감정들을 써내려갔습니다. 중요한 건 글을 잘 쓰는 게 아니었습니다. 감정을 ‘비워내는 연습’ 자체가 회복의 실천이었기 때문입니다. 나는 그것을 ‘감정 쓰레기통 정리하기’라고 불렀습니다. 내 감정을 내가 먼저 인정해주고, 이름 붙이고, 필요한 만큼 울고 토닥이는 행위는 스스로를 지키는 기술이 되었습니다. 감정노동자에게 감정 훈련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기본이었습니다.

3. 감정 기록과 루틴 – 내면을 돌아보는 ‘나만의 시간표’

하루를 정리할 때마다 나는 ‘오늘 가장 힘들었던 순간은 언제였는가?’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리고 나에게 진짜 하고 싶었던 말은 무엇이었는지를 써보았습니다. 이 루틴은 처음엔 어색했지만 점점 나의 일상 일부가 되었고, 시간이 지날수록 감정의 흐름을 읽는 눈이 생겼습니다. 감정 훈련은 복잡하지 않았습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스스로의 감정을 돌아보는 작은 습관, 그것이 감정노동에서 살아남게 해준 숨구멍이었습니다. 퇴근 후 10분, 잠들기 전 5분. 이 시간들은 내 감정을 훈련시키고 회복시켜주는 루틴이 되었습니다.

4. 회복의 언어를 갖는 것 – 감정을 ‘다르게’ 말하는 힘

감정노동 회복 과정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감정을 말하는 언어가 부족하다는 사실이었습니다. “화났다”, “짜증났다” 같은 표현은 너무 평면적이었습니다. 나는 ‘서운했다’, ‘무시당했다고 느꼈다’, ‘존중받고 싶었다’는 식으로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감정 언어를 익히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내 감정을 왜곡 없이 바라보게 했고, 타인에게도 더 분명하게 경계를 알릴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회복은 결국 ‘자기 감정의 언어를 되찾는 일’이었고, 그것이야말로 감정노동자의 존엄을 지키는 첫걸음이었습니다.

5. 감정훈련은 멈추지 않는 회복의 루틴이다

어느 날은 쓰기조차 싫었고, 아무 말도 떠오르지 않을 때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날일수록 “나는 오늘 어떤 감정을 가장 오래 느꼈을까?”를 스스로에게 묻는 것으로 시작했습니다. 감정훈련은 한 번 한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 돌아보고 다듬어야 하는 루틴이었습니다. 지치지 않기 위해, 또 다시 무너지지 않기 위해, 나는 오늘도 그 감정 루틴을 따라갑니다. 회복은 결국 나를 다시 돌보는 생활입니다. 그리고 그 생활은 오늘도, 내일도 이어집니다. 감정노동자의 회복은 특별한 선택이 아니라 일상의 실천입니다.

📌 감정노동 칼럼 시리즈 전체 글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 감정노동 칼럼 시리즈 모아보기